프뢰벨의 사상적 배경
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학개론

프뢰벨의 사상적 배경

by 헬시노트 2024. 11. 25.
반응형

독일에서 출생한 프뢰벨은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1837년에 유아를 위한 교육기관으로 '자기 교수 자기교육으로 이끄는 직관교수 학원'을 창설하였다가 1840년에 이를 '유치원(kindergarten)'이라고 불렀으며, 이 유치원의 교육과정을 체계화하였다. kindergarten이라는 용어의 뜻은 '어린이의 정원'으로서, 프뢰벨이 생각한 유치원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다. 즉, 정원에서 여러 가지 화초가 서로 어우러져 자유롭게 자라듯이 유치원에서도 아동들이 그렇게 자라야 한다는 뜻이다. 이 경우 교사는 정원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이다.

 

프뢰벨의 교육에 관한 철학적 입장은 이상주의, 상징주의 또는 형식주의 등으로 설명된다. 그는 원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이 원이 우주의 세 기본 요소인 신, 인간, 자연의 통합을 상징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교육의 목적은 이러한 통합의 원리를 아동이 활동 속에서 깨닫도록 해 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깨달음의 능력은 아동이 태어날 때 이미 내재적으로 갖추고 태어나기 때문에 외부에서 적당한 사물과 활동을 준비해 주면 자연스럽게 개화되어 나타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그의 이러한 생각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형이상학적 개념들을 기초로 하는 지극히 이상주의적 관점이었다. 

 

이러한 이상주의 교육사상의 실현을 위해 준비한 것이 은물(gifts)과 노작(occupation)이다. 은물이란 신의 은총으로 받은 선물이라는 뜻이다. 프뢰벨은 인간의 본성이 바로 신성이라고 보았으며, 이 신성은 창조와 생산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하였다. 은물은 아동이 이것을 가지고 활동함으로써 자기의 신성을 깨닫도록 해 주는 상징적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예컨대, 여섯 개의 색 곡으로 이루어진 제1 은물이나 정육면체, 구, 원기둥으로 이루어진 제2 은물은 신, 인간, 자연의 조화로운 통합성을 상징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은물은 보통 10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제1 은물에서 제6 은물까지는 공과 나무로 만든 여러 가지 입방체들이며, 제7 은물부터 제10 은물까지는 평면을 주로 다루어 선과 각들의 조합을 이루었다. 은물은 의도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최초의 놀잇감으로서 주로 나무로 만들어졌다.

 

은물을 통한 교육의 원리 세 가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자기 본성에 따라 자유롭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유아 내부의 본성이 있는 그대로 밖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자유스러운 놀이 상황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은물이 순서에 맞게 위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전 단계의 놀이가 다음 단계의 놀이와 연결되면서 포함될 수 있어야 유아의 활동이 비약 없이 연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여러 가지 능력, 즉, 사고력, 의지력이 동시에 함께 훈련되어야 한다. 모든 능력이 고루 균형을 이루면서 발전되어야 한다.

 

노작은 주로 점토, 나무, 두꺼운 종이 등의 자료를 가지고 하는 조작 활동으로서 뜨개질하기, 그림 그리기, 종이 오리기, 종이접기, 구슬 꿰기 등의 11종이 있다. 이 활동을 통하여 아동은 감각 운동 기능을 키우게 된다. 오늘날 유치원과 유아원에서 유아들이 하는 대부분의 조작 활동이 이 노작에 뿌리를 두고 있다.

 

프뢰벨이 유치원에 도입한 놀이 활동은 유치원 교육과정에 큰 전환을 가져왔다. 전통적으로 놀이는 생산적인 활동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되어 왔었다. 그러나 프뢰벨은 아동기의 놀이가 자연스러운 교육활동이 되며, 충분한 가치와 의미가 부여되어야 하는 활동이라고 보았다. 20세기 초 듀이를 중심으로 한 진보주의 교육에서 놀이를 도입하고 전개해 나가는 방법이 지나치게 계획적이고 형식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는 하였으나 놀이의 교육적 의의를 제시한 점에서 그의 공헌도는 인정될 수 있다. 또한 신체적인 움직임을 수반한 '노작교육'의 기초를 제공해 준 점에서도 그러하다.

 

또한 프뢰벨은 페스탈로치의 영향을 받아 아동의 교육에 있어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오랫동안 자료를 수집하고 실제적인 실험을 거쳐 「어머니와 아기의 노래(Mother play and song」이라는 부모용 교육지침서를 1843년에 출판하였다. 이 책에는 50종류의 게임과 노래가 들어 있다. 게임은 주로 손을 잡고 원을 만들어서 하는 형태가 많은데, 이것은 유아가 통합의 개념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반응형

'유아교육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소의 사상적 배경  (0) 2024.11.24
외국의 유아교육사상  (0) 2024.11.23
한국의 유아교육사상  (0) 2024.11.22
유아교육의 동향  (0) 2024.11.21
외국의 유아교육 발전과정  (0)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