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에 대한 개념 규정은 매우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교육 전문가가 보는 유아교육의 본질적 개념, 부모들이 기대하는 유아교육의 방향, 현장 교사들이 이해하는 유아교육의 개념 등은 서로 뜻을 달리하는 경우가 많으며, 나아가서 상충하기도 한다. 유아교육의 개념은 크게 협의의 개념과 본질적 개념으로 나누어진다. 유아교육을 보육으로 보는 관점은 가장 전통적인 개념에 가깝다. 이때 보육이란 교육과 구분되는 활동을 뜻한다. 교육이 보다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목적적인 변화를 시도하는 활동이라면, 보육은 아동을 맡아서 돌보아 주고, 심신을 보호해 주고, 정상적인 발달을 도와주는 활동을 가리킨다. 교육은 더욱 적극적으로 아동의 행동 변화를 유도해 나가는 활동이고, 보육은 다분히 소극적인 자세로 아동의 기본적인 요구에 부응해 주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유아교육의 개념은 이론적으로 게젤(Gesell)의 성숙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아동의 성장과 발달은 외부로부터의 의도적인 자극이나 훈련보다는 타고난 내재적 힘이나 유전적인 구조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진다는 것이 게젤의 생각이다. 이러한 게젤의 입장에 따르면 인간의 발달은 태어날 때 이미 그 방향과 속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의도적인 노력을 통한 인간 행동의 변화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1970년대까지는 이러한 보육으로서 유아교육의 개념이 지배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 당시 대학의 유아교육과 관련된 학과의 명칭이 보육학과였으며, 이곳에서 배출된 교사도 보모(nursor)라고 불렸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든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개념으로 유아교육을 받아들이는 추세다. 다만 유치원 입학 이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유아원이나 보육시설의 경우에는 아직도 그 목적을 보육에 국한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관점은 일정한 영역의 재능이나 기예를 조기에 발견하여 어릴 때부터 교육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이 개념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가장 적극적인 교육적 개입을 주장하는 입장으로서 보통 조기교육이라는 용어와 거의 동일한 의미로 혼동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 같다. 영재교육, 예체능교육 등이 조기 재능교육에 해당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각종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바로 이러한 유아교육의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다. 유아교육을 조기 재능교육으로 보는 관점은 '아동기'의 실종과 지나친 '조기화'의 열풍을 몰고 오고 있다. 하한선도 없이 '빠를수록 좋다'는 생각 때문에 아동기 고유의 놀이 문화가 사라지고, 심각한 교육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어느 정도 나이가 든 후에 아동 자기 판단력과 흡수력을 갖춘 상태에서 배우게 되면 심리적으로 여유 있게 즐기면서 재능을 발휘하고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너무 어릴 때 부모의 요구에 의해 배우게 되면 유아는 거부감과 저항감부터 느끼게 되며, 수동적으로 끌려가는 입장에서 오는 무력감 때문에 오히려 그 분야에 대한 흥미만 잃게 되기 쉽다는 것이다. 유아교육을 초기의 재능계발로 보는 입장은 현대사회에서 지향하고 있는 전인교육에 위배된다. 유아는 발달의 여러 영역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지식과 기능발달에 치우치게 되며, 따라서 품성과 체력을 골고루 갖춘 전인으로 성장하기 어렵다. 특정한 영역만 집중적으로 훈련하는 것을 유아교육의 목적이라고 보는 관점은 이상과 같은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유아교육을 후속되는 교육의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입장이다. 즉, 아동이 초등학교에 취학했을 때 학력과 생활에서 잘 적응하도록 이에 필요한 기능과 태도를 익히게 하는 것이 유아교육의 목적이라고 본다. 이 기능과 태도에는 주로 교과 학습과 관련된 기초기능인 읽기, 쓰기, 셈하기와 단체생활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태도, 즉 줄 서서 기다리기, 손 씻기, 교통안전 지키기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교사에 의해 미리 준비되고 계획되어 아동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일방적인 교육의 성격이 강하다. 이 입장은 현대사회의 많은 부모들에 의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치열한 입시경쟁에서 이기려면 어릴 때부터 지속해서 일관성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부모들이 많다. 이들은 유아교육을 단순히 최종적인 목표인 대학 입학을 위한 초기의 한 단계로만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모들은 유치원에서 다루어지는 교육 내용이 주로 나중에 배울 교과 학습과 관련되기를 기대하거나 교사들에게 이를 직접적으로 요구하기도 한다. 유아교육에 대한 이 개념은 유치원 교육의 보편화에 따른 공교육화 추세와 더불어 부각되고 있는 세계 각국의 공통된 실정인 것 같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미국이나 영국 등의 경우 유치원 교육이 초등학교 교육과 더 이상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유치원 학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대도시 지역을 제외한 농어촌이나 산간벽지 지역에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설립되어 있으며, 2001년부터 유치원 교육의 공교육화를 위한 준비가 본격적으로 착수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유치원교육과 초등학교 교육 간의 연계성 문제를 부각하고 있으며, 또한 유치원 교육의 성격이 초등학교 교육과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자리 잡게 하고 있다.
'유아교육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의 유아교육 발전과정 (0) | 2024.11.20 |
---|---|
한국의 유아교육 발전과정 (0) | 2024.11.19 |
유아교육의 중요성 (0) | 2024.11.18 |
유아교육기관 (0) | 2024.11.17 |
유아교육의 대상 (0)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