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의 다양한 환경, 즉 물리적 환경, 교사와 학생의 관계, 교우관계, 학습 진단, 학업 성취 등이 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인 중에서 학생들의 정신건강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 성취의 문제다. 성취 결과에 대한 과도한 긴장감이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학생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과제의 수행 과정에서 가지게 되는 정서적 내면화 수준이 학습 과제 수행 결과의 성취를 결정하는 시험 불안에 깊이 관여되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는 학생들이 건전한 정신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시험 불안에 대하여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불안(anxiety)이란 편안하지 않으며 불길한 예감이 들고 긴장을 느끼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불안은 특성 불안과 상태불안으로 나뉜다.
- 특성 불안 : 일반불안이라고도 하며, 개인에게 내재하여 있는 불안을 의미한다. 특성 불안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은 보다 넓은 범위에서 보다 강하게 불안을 느끼며, 불안을 느끼는 상황에서 손에 땀이 배기도 하고 심장 박동이 빨라지거나 불길한 예감을 갖는 등의 신체적·정서적 특징을 보인다.
- 상태불안 : 특수불안이라고도 하며, 특수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을 의미한다. 특성 불안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도 특수한 상황에서 상태불안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불안의 개념과 특성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통해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불안 상태를 보이는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자기 비하적이며 모험을 좋아하지 않고 백일몽에 빠지는 행동 양식을 자주 보인다. 또한 어린 학생들은 승낙과 거절 등에 의해 불안이 조절되며, 고학년의 학생들은 불안을 느끼면 교실에서 공격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지나친 불안을 느끼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불안해하지 않는 것 모두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불안으로 인한 학생의 행동 특성에 세심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결국, 학생들의 학업 성취는 정신건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학생들에게 건전한 정신건강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불안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고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 학교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은 대부분 시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험은 학생들에게 보람과 도전정신을 주기도 하지만, 때로는 좌절과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학생들은 때때로 자기 능력 때문이 아니라 시험에 대한 불안 때문에 성취 수준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시험과 관계된 불안을 시험 불안이라고 한다. 이는 시험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의해 불안이 야기되므로 앞에서 언급한 상태불안의 일종이다. 시험 상황과 관련된 불안의 예로는 시간 제약이 없을 때는 수학 문제를 잘 풀던 학생이 시간 제약이 있을 때 더 많은 실수를 하게 되고, 수행에 대한 압력이 있거나 실패에 대해서 엄한 결과가 뒤따르거나 학생들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는 정도가 심해진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학생들이 시험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지로는 시험 불안 척도가 있다. 이것은 3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문항들은 자신에 대한 생각(예 : 중요한 시험을 치를 때 나는 다른 학생들이 나보다 얼마나 더 뛰어난가를 생각한다.)과 시험 상황에서의 신체 반응(예 : 나는 중요한 시험을 치를 때 때때로 심장이 매우 빠르게 뛰는 것을 느낀다.) 등의 질문들로 이루어진다. 연구에 따르면 시험 불안을 높게 느끼는 사람은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기술하는 경향을 보였고, 땀을 많이 흘리거나 복통을 호소하거나 숨 쉬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등의 신체적 증상을 보였다. 많은 연구 결과는 시험 불안과 학업 성취가 초등학교 수준부터 대학교 수준에 이르기까지 밀접한 상관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Dusek(1980)은 시험 불안이 학령기 혹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 생긴다고 보며, 이것이 부모가 아이에게 성적에 관해 무리한 기대를 갖는 상황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즉, 아동은 부모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어려움을 깨닫고, 시험을 볼 때마다 자신의 실패를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 상황에 대한 공포를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불안의 영향력이 높은 영역은 저학년 시기에는 읽기, 고학년 시기에는 수학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능력과 관련하여 학습부진아와 학교생활에서 부적응을 보이는 아동들의 불안이 보통의 아동보다 더 높다는 결과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험 불안과 학업 성취의 관계는 포물선의 형태를 띤다고 알려져 있다. 불안이 낮은 경우 학생들은 주의가 산만하고 과제에 집중하지 않기 때문에 성취 수준이 낮고, 불안이 지나치게 높으면 자기 비하감이 인지 능력의 일부를 차지하게 되어 과제 수행에 필요한 정보처리 용량이 부족해지므로 성취 수준이 떨어진다. 따라서 시험 불안은 복잡한 인지 과정을 요구하는 과제나 문제를 풀 때 더 높아지고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즉, 학생의 불안 수준이 극도로 낮거나 높은 것보다는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때 가장 효과적인 학업 성취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불안이 높은 학생들에게는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접근과 개별적인 접근이 동시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교 환경의 변화를 통하여 시험 불안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거나 통제하기 위해서 시험 불안에 관련된 이론뿐만 아니라 학교 조직이나 체제와 같은 학교문화에 대한 심도 있고 종합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실에서의 학습평가 (0) | 2024.11.13 |
---|---|
학교 스트레스 (0) | 2024.11.13 |
학교에서의 정신건강 (0) | 2024.11.12 |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0) | 2024.11.11 |
정신건강의 요인 (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