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의 개념
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발달의 개념

by 헬시노트 2024. 10. 22.
반응형

인간 발달에 대한 연구는 교육의 효과를 위한 아동의 이해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인간의 성장과 변화를 설명하는 데 그 초점을 두고 있다. 성장과 변화를 의미하는 발달(development)에 관련된 연구는 발달심리학이라는 학문 영역 내에서 인간 발달, 아동 발달, 성인 발달, 생애 발달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류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는 학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발달심리학(development psychology)을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성장과 변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라고 정의한다. 또한 발달심리학에는 행동과 정신에 관한 연구가 모두 포함되며, 무엇이 변화하는가와 왜 그러한 변화가 일어나는가 혹은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와 같은 문제를 다룬다. 그는 발달 연구자들이 주로 지각, 사고, 유추, 기억, 의사소통, 사회화, 도덕화, 검정의 표현 등에 관심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발달심리학을 인간이 전 생애 걸쳐 경험하는 모든 변화를 이해하려는 심리학의 한 분야라고 정의하면서 아동 발달과 인간 발달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아동 발달(child development) : 태아부터 사춘기까지의 인간 성장의 모든 면을 이해하려는 연구 분야

인간 발달(human development) : 인간이 전 생애에 걸쳐 경험하는 모든 변화를 이해하려는 학제적 연구 분야

따라서 그는 아동 발달과 인간 발달의 개념적 차이가 구체적으로 연구 대상의 차이라고 지적하는 것이다. 인간 발달과 유사한 개념이 되는 생애 발달에 대해 사람의 삶에 있어 탄생에서 죽음까지에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연구라고 정의하였다. 생애 발달을 개인이 살아가는 사회적, 경제적 상황 내에서 개인에 대한 생애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 분야라고 설명하면서, 기존의 인간 발달의 개념과 생애발달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처럼 인간 발달, 아동 발달, 청년 발달, 성인 발달, 생애 발달 등 발달과 관련된 모든 분야의 학문 영역에는 성장과 변화를 의미하는 발달의 개념이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발달에 대한 이론과 연구들은 교육의 주체인 인간에 대해 폭넓고 다양한 이해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의 발달에 대한 연구는 20세기에 들어와서 과학적인 학문의 토대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철학, 사회학, 인류학 등을 통한 인간의 본성에 관한 탐구는 이전부터 꾸준히 연구되어 인간 발달 연구의 중요한 기초를 제공해 왔다. 예를 들면, 진화론과 성선설, 그리고 백지설 등은 인간의 본질적인 이해에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심리학 이론인 정신분석학, 인본주의, 행동주의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우주는 인간의 지각에 상관없이 일관성 있게 존재한다는 객관주의는 측정할 수 있는 실체를 중시하는 행동주의 심리학에 영향을 주었으며, 사물의 본질은 그것을 지각하는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한다는 실존주의는 주관적 지각과 경험을 중시하는 인지심리학에 영향을 미쳤다. 20세기에 들어오면서부터 인간 발달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구체적으로 시작되었다. 미국의 경우 사회개혁자들은 당시 미국에 산재한 사회문제 중에서 아동의 복지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아동의 발달 유형과 전형적 행동을 진단하고 파악하기 위하여 아동 발달에 관한 지식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Hall(1891)은 아동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을 밝히기 위해 발달의 계열과 시기를 조사하고 측정하는 과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 시기의 심리학자들은 발달에 따른 변화가 성장을 포함한 성숙의 결과라고 가정하였기에, 아동의 발달이 유전적, 보편적이며 관찰될 수 있는 연령차에 따라 구분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의 주요 연구 주제는 전형적인 발달에 관한 기술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아동의 연령에 따라 어휘 사용량과 유형에 관한 주제나 연령 변화에 따른 또래 내의 상호작용 변화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런 기술적 연구의 주요 목적은 아동의 연령 증가에 따른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행동 규준을 만드는 것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가 발달심리학의 주축이 되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인간 발달을 무의식과 성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었다. 행동주의는 발달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행동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었다. Freud가 주창한 정신분석학은 후에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에 영향을 미쳤으며 Pavlov와 Watson에 의한 행동주의는 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와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는 초기 발달 연구와 같이 단순히 발달 단계를 기술하는 것에 머문 것이 아니라 발달에 대해 이론을 구성하고 검증하려 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지배적인 견해는 인간의 발달이 주로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었으므로, 인간의 발달과 행동이 생물학적으로 결정된다는 가정을 거부하였다. 결국, 이 시기의 연구자들은 초기의 심리학자들과는 달리 연령의 증가나 발달 단계보다 인간이 처해 있는 상황적, 환경적 영향에보다 관심을 두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간은 자기 경험을 스스로 조직할 수 있는 능동적인 존재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Piaget의 이론이 강조되었다. Piaget는 발달을 성숙과 경험 간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보았다. 그의 이론은 인간 발달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 밖에 Piaget의 이론에 기초한 표상이론이 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인간의 행동에 대한 생물학적, 유전적 성숙의 영향이 다시 부각되어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20세기 초반의 연구 경향으로 회귀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생물학적 특징과 환경에서 얻는 경험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발달 단계에 따라 성취해야 하는 발달과업의 개념을 정립한 Havighurst의 이론이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발달과업을 준비도의 개념과 관련지어 설명한 그의 이론은 자연 성숙론과 환경 경험론의 문제를 다시 한번 환기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1970년대에는 인간의 사고를 컴퓨터의 정보처리 과정, 즉 정보의 흐름에 따라 상징을 조작하는 복합적인 체계로 이해하려는 정보처리 이론이 발전하였다. 발달을 갑작스러운 변화가 아닌 점진적이고 연속적인 증가로 이해하는 정보처리 이론이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인간 발달의 측면을 부각한 것은 사실이지만, 근래에는 정보처리 이론 역시 절대적일 수 없다는 비판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 이론이 동기, 감성, 사회성 등과 같은 정의적 특성에 대하여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매우 타당한 것 같다.

Infant

반응형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0) 2024.10.25
발달 연구의 최근 동향  (0) 2024.10.25
교육심리학의 적용  (0) 2024.10.22
교육심리학의 발전 과정  (0) 2024.10.18
교육심리학의 개념  (0)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