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 연구의 최근 동향
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발달 연구의 최근 동향

by 헬시노트 2024. 10. 25.
반응형

인간 발달에 관한 최근 연구의 두드러진 점은 문화와 상황에 대한 높은 관심이라 할 수 있다.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인간 발달 연구의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인간을 환경과 다양한 형태로 상호작용하는 존재로 인식하게 된 것이라고 지적한다. 인간 발달의 주요 이론을 유기체적 모형, 기계론적 모형, 상황론적 모형의 세 가지로 구분하면서, 최근에는 생물·사회·역사적 상황에서의 발달,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유기체적 모형과 기계론적 모형을 통합하려는 시도 등의 상황론적 모형을 기초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렇듯 최근의 인간 발달 연구는 기존의 이론들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보완하며, 인간 발달의 다양한 측면을 보다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해 문화와 상황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최근의 연구는 크게 행동 생물학, 생태이론, 그리고 사회문화이론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행동 생물학은 Darwin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유럽의 동물학자에 의해 현대적인 기초가 확립되었다. 그리고 1960년대에 이르러 처음으로 아동 발달 연구에 적용되게 시작하였으며,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적응, 생존, 행동의 가치, 진화론적 역사 등에 관심을 갖는 행동 생물학에 의해 제안된 각인(imprinting)과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의 개념은 아동 초기의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시기에 습득되어야 할 인지적·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 초기의 적절한 음식 혹은 물리적·사회적 자극의 결핍과 지능발달의 관계, 아동 초기의 언어 미숙달과 아동의 언어 습득 능력 감소의 상관 등의 문제는 결정적 시기와 관련된 연구들이다. 이러한 결정적 시기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행동 생물학자들은 개인이 환경의 영향에 반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Nursery, Child, Kindergarten

 

이처럼 개인이 환경의 영향에 반응한다는 원리는 인간 발달 연구에 다양한 방향을 제공하게 되었다. 미소 짓기, 옹알이, 붙잡기, 울기 등과 같은 행동이 부모와 영아의 상호작용을 형성하는 사회적 신호체계를 구성한다는 것을 밝힌 연구는 영아와 보호자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에 행동 생물학 이론을 적용한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행동 생물학자들은 감정적 표현, 공격성, 협동성, 사회 놀이 등과 같은 아동들의 사회적 행동의 다양한 국면에 관심을 나타낸다. 놀이할 때 아동들이 형성하는 권력의 위계에 대한 연구는 아동들이 환경에 적응하는 생존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행동 생물학자들은 인간의 행동에 대한 이해에서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을 포함한 환경의 완전한 이해를 추구한다. 이렇듯 행동 생물학자들의 관심은 매우 광범위하다. 결국, 그들은 유기체와 환경 체제를 보다 완벽히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생태이론은 행동 생물학을 보완해 준다. 이는 생태이론이 직계가족의 관계에서 보다 넓은 사회적 환경에 이르기까지 환경의 다양한 측면이 어떠한 방식으로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아동의 발달은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의 개념이 보다 확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확장된 환경과 아동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면서, 아동은 단순히 환경에 영향을 받는 존재가 아니라 환경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 능동적인 존재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이론에서는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을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 체계, 거시체계, 연대체계의 다섯 수준으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미시체계(micro system)는 개인을 중심으로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환경이다. 이 수준에서는 직접적으로 접하는 환경에 대한 아동의 능동성과 상호작용 패턴에 관심을 갖는다. 지금까지 미시체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아동에 대한 성인의 영향에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아동과 연관된 모든 관계성이 항상 쌍방적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친절하고 예의 바른 아동은 부모에게서 긍정적이고 인내하는 반응을 유도하는 반면, 그렇지 못한 아동은 부모에게서 벌과 엄격한 반응을 유발한다. 이처럼 미시체계와 관련된 연구는 아동과 환경의 상호작용에보다 관심을 두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관계성은 아동과 부모 이외 제3의 변인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부부의 갈등이 아동에 대한 일관성 없는 원칙과 적대적인 행동의 원인이 된다는 연구 결과는 이 수준에서의 관계성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게 아동 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 준다.

중간체계(meso system)는 미시체계와 연결되어 있는 가정, 학교, 이웃, 유아원 등의 기관과 아동 발달 간의 관계성을 강조한다. 아동의 학업 성취가 단순히 교실에서의 활동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학교 참여와 가정학습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 발달에 있어 중간체계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이 아동과 부모 혹은 교사 등의 상호작용과 서로 연계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가정과 중간체계의 기관들이 서로 밀접한 연계를 맺어 상호 방문과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질 때 바람직한 아동 발달이 이루어진다.

 

 

반응형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 연구와 이론의 교육적 적용  (0) 2024.10.26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0) 2024.10.25
발달의 개념  (0) 2024.10.22
교육심리학의 적용  (0) 2024.10.22
교육심리학의 발전 과정  (0) 2024.10.18